구글의 A2A 프로토콜: AI 에이전트 간 통합의 혁신

Estimated read time 1 min read

2025년 4월 10일, 구글은 AI 도입의 최대 장벽 중 하나인 다양한 플랫폼 간의 이질적인 통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2A(Agent-to-Agent) 프로토콜을 발표했습니다. 이 개방형 프로토콜은 인공지능 에이전트 간의 상호 운용성을 혁신하는 표준으로, 서로 다른 프레임워크나 벤더에 상관없이 AI 에이전트가 공통 언어로 협업할 수 있게 해줍니다.

A2A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A2A 프로토콜은 다양한 AI 에이전트들이 프레임워크나 공급업체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 프로토콜입니다. 구글에 따르면, 이는 불투명한 에이전트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과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형 프로토콜로 정의됩니다.

A2A 프로토콜

기업들이 다양한 AI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서로 다른 플랫폼과 제조사의 에이전트를 결합하여 활용하는 것은 큰 도전 과제였습니다. A2A 프로토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AI 에이전트들이 마치 동료처럼 협력하여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A2A 프로토콜의 핵심 구성 요소

1. 에이전트 카드 (Agent Card)

에이전트 카드는 AI 에이전트의 역량, 기술, 엔드포인트 URL, 인증 요구사항 등을 담은 공개 메타데이터 파일입니다. 마치 명함과 같은 역할을 하며, 다른 에이전트나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발견하고 상호작용할 때 기반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well-known/agent.json 경로에 위치합니다.

2. A2A 서버와 클라이언트

  • A2A 서버: 프로토콜 규격에 맞춰 HTTP 엔드포인트를 구현해 태스크 요청을 처리합니다. JSON 명세에 정의된 A2A 프로토콜 방법들을 구현하며, 요청을 수신 및 관리합니다.
  • A2A 클라이언트: 다른 에이전트나 애플리케이션으로, tasks/send와 같은 엔드포인트로 서버에 작업 요청을 보냅니다.

3. 태스크와 메시지 구조

  • Task(태스크): 작업 단위로, 상태(제출됨/진행중/입력 필요/완료/실패/취소 등)를 추적합니다. 각 태스크는 고유 ID로 관리되며, tasks/sendSubscribe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합니다.
  • Message(메시지): 사용자(클라이언트)와 에이전트 간 소통을 위한 메시지로, 텍스트, 파일, 구조화된 데이터(폼 등) 형태의 Parts로 구성됩니다.
  • Artifact(아티팩트): 에이전트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생성된 결과물(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전달하는 컨테이너입니다.

4. 실시간 기능 및 보안

  • 스트리밍: SSE(Server-Sent Events)를 통해 장시간 실행되는 작업의 실시간 진행 상황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 푸시 노티피케이션: tasks/pushNotification 엔드포인트를 통해 프로액티브한 태스크 업데이트를 위한 이벤트 알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모든 통신은 보안 프로토콜(HTTPS 등)로 보호됩니다.

A2A 프로토콜의 활용 가능성

A2A 프로토콜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활용이 기대됩니다:

1. 비즈니스 자동화

  • 고객 지원 자동화: 다양한 AI 챗봇이 A2A 프로토콜을 통해 협력하여 고객 문의를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력하여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다양한 시스템 간의 자동화 작업에서 에러를 감소시키고 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데이터 분석 및 기술 환경

  • 데이터 분석 자동화: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력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팩토리: 다양한 AI 시스템들이 원활하게 통신하며 생산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멀티 클라우드 환경: 서로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에 배포된 AI 시스템들이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습니다.

A2A 프로토콜의 의의와 전망

구글의 A2A 프로토콜은 AI 에이전트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여 AI 도입의 복잡성을 줄이고, 더욱 효율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는 마치 인터넷이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했던 것처럼, AI 에이전트들을 연결하는 공통 언어를 제공합니다.

구글은 이 프로토콜을 오픈 소스 또는 표준화 과정을 통해 산업계 전반에 보편화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앞으로 A2A 프로토콜이 발전하고 확산됨에 따라, AI 에이전트들이 더욱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표준 프로토콜의 등장은 기업들이 다양한 AI 솔루션을 보다 쉽게 통합하고,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입니다. A2A 프로토콜은 AI 기술의 광범위한 적용과 혁신 발전에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