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검색에서 생성으로의 전환
이제는 온전히 개발자 혼자서 코드를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코드 작성시 참고할 자료들이 넘쳐나고 있다. 지금까진 검색엔진에 의존한 코딩이 대다수의 개발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해온 방법이었다. 구글이나 Github, Gitlab 등의 웹 서비스에서 작성자가 필요한 코드, 라이브러리, 모듈 등을 검색해서 직접 찾아서 쓰는 방식이었지만, 이젠 그 ‘일상적’인 코딩 방법이 달라지고 있다. ChatGPT의 화려한 등장 이후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해 개발자를 보조하는 식이다. 사람이 일일이 검색하는 대신, 이미 많은 코드들을 인덱싱하고 가지고 있는 AI에게 필요한 코드를 생성하게끔 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꽤 똘똘한 조수 ChatGPT
ChatGPT는 최근 3.5에서 4로의 업데이트에서 처럼, 새로운 버젼이 공개될 때 마다 더욱 개선된 성능과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문장 생성 작업 외에도 다양한 영역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발군의 능력을 보여주는 여러 영역 중, 유독 뛰어난 하나가 개발자의 의도를 반영한 프로그램 코드 생성이 아닐까 싶다.
“어떤 기능을 만들어줘”라는 단순 요청 부터, 제시된 코드에 대한 해석, 코드 내 주석문 작성 등등 개발자들이 귀찮아 하거나 시간이 들어가는 일들을 빠르게 처리해주는 제법 똘똘한 어시스턴트 역할까지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능력을 적용하고자 하는 영역과 실제 활용 사례가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터미널 환경에서는?
프로그래밍 영역에선, GUI기반 유명 통합개발환경들에 자체적인 AI 기능이 탑재되어 있거나, 플러그인 형태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이러한 기능에 대한 접근과 사용이 쉽다. 그러나, GUI를 기대하기 어려운 리눅스의 터미널 환경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접근성과 사용성은 어떨까?
대표적으로, 터미널 환경에서 많이 사용하는 vim에디터는 어떨까? 답 부터 먼저 이야기 하자면, vim에서도 플러그인으로 Copilot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코파일럿이 필요로 하는 패키지들 몇 가지를 직접 설치해줘야 한다는 점만 조금 다르다.
VIM 에서 Github Copilot 사용하는 방법
구독, 좋아요?
Github에서는 Copilot 무료 30일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구독이 필요하다. Github 로그인 후 Settings -> Billing and plans -> Plans and usage
에서 Add-ons
를 보면 Copilot 구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기본 제공되는 무료 30일 기간 후에는, 1년에 $100가 과금되므로 무료체험 만료일을 먼저 확인해두자.
의존성 해결
Github의 Copilot 안내 페이지를 보면, VIM에서 코파일럿 기능 사용을 위해 필요한 패키지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다. Vim 버젼은 9.0.0185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하며, Node.js 18
이나 그 이상 버젼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아마존 리눅스 2023에선 아래와 같이 nodejs
와 git
을 설치할 수 있다.
sudo yum install nodejs git
플러그인 다운로드
vim에는 자체 플러그인 기능이 있으므로, git 명령으로 Copilot 리포지토리를 로컬에 클론을 만들어주면(다운로드 해주면) 설치는 끝난다.
mkdir ~/.vim
git clone https://github.com/github/copilot.vim \
~/.vim/pack/github/start/copilot.vim
코파일럿 플러그인 활성화
git clone
명령이 성공적으로 끝났다면, vim 실행 후 코파일럿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Copilot setup
코파일럿 설정이 시작되면서 인증을 위한 코드가 생성되고, github.com/login/device 페이지에 접속해 해당 코드를 입력하면 코파일럿 설정이 끝난다.
코파일럿과 함께 코딩
인증이 성공하고 정상적으로 코파일럿이 활성화 되었다면, 파이썬이나 쉘스크립트 등을 vim에서 편집시 사용자가 잠시 입력을 멈췄을 때 커서 위치에서 코파일럿이 제안하는 내용이 표시된다. 통합개발환경의 키워드 자동완성 기능처럼, 제안된 내용을 사용하고자 하면 tab키만 눌러주면 된다. 더 자세한 사용법은 vim에서 help Copilot
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리눅스(본문에서는 아마존 리눅스 2023) 터미널 환경에서 vim과 Github Copilot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플러그인 하나로 코딩이 얼마나 편해지는지 직접 체험해보자. 😎👍
+ There are no comments
Add yours